정치심리학 2

사상이 충돌할 때, 우리가 싸워야 할 대상은 누구인가?

“내가 옳다고 믿는 것이 정말 옳은 걸까?”“상대가 틀렸다는 것을 지적하는 게 정의일까?”요즘처럼 사회적, 정치적 갈등이 극단화되는 시대에 이 질문은 더없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뉴라이트’, ‘극우적 역사관’, ‘친일 미화’ 같은 논쟁적 담론 속에서 우리는 혼란을 겪습니다. 내 생각은 과연 객관적일까? 나도 모르게 상대방에게 또 다른 폭력을 가하고 있는 건 아닐까?이 글에서는 사상이 충돌할 때, 우리가 어떻게 사고해야 하는지를 인지과학적·철학적 관점에서 살펴봅니다. 이 포스팅은 특히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이해와 접근 방식을 고민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글입니다.⸻1. 왜 사람들은 극단적인 정치 사상을 지지할까?뉴라이트나 극우주의는 일부 소수 세력처럼 보이지만, 꽤 견고한 지지층을..

[심리학으로 보는 투표행동] 우리는 왜 그렇게 투표할까?

선거 시즌, 사람들의 표심은 어디로 향할까? 언론은 연일 여론조사 결과를 쏟아내고, 후보자들은 유세와 공약으로 유권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애쓴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이성적 판단’으로 투표를 하는 걸까? 아니면 무의식 속 심리 요인들이 우리의 선택을 좌우하는 걸까?이번 포스팅에서는 *‘투표 행동에 작용하는 심리학’*을 주제로, 유권자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심리 메커니즘을 살펴보자.1. '투표'는 감정의 선택일까, 이성의 선택일까? 많은 사람들은 스스로를 합리적인 유권자라고 믿는다. 공약을 비교하고, 토론을 보고, 후보자의 이력을 분석하며 투표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감정의 영향을 훨씬 더 많이 받는다고 말한다.대표적인 이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