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7

AI와 확증편향: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이유

1. 우리는 왜 말하면서 깨닫는가 "누군가에게 말하다 보면, 말 속에 이미 답이 있었다는 걸 알게 된다."많은 사람들이 겪는 경험이다. 복잡한 고민을 풀기 위해 친구에게 털어놓다 보면, 듣는 이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는데 스스로 정리가 된다. 왜일까?그 이유는 간단하다. 인간은 생각을 '언어'라는 그릇에 담아 구조화할 때, 비로소 스스로의 마음을 명확히 들여다보게 된다. 말하는 행위는 곧 스스로를 정리하는 작업이며, 말의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본능처럼 핵심에 도달하는 것이다.하지만 이 과정엔 보이지 않는 함정이 숨어 있다. 바로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이다.2. 확증편향이란 무엇인가? 확증편향은 우리가 이미 믿고 있는 생각이나 가설을 뒷받침하는 정보만 수집하고, 반대되는 정보는 ..

왜 아침 생각과 저녁 생각은 다를까? | 생체리듬과 감정의 과학

밤에 쓴 연애편지가 아침에 부끄러워지는 이유아침의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저녁엔 시들해지는 이유누구나 한 번쯤 이런 경험 있으시죠?‘어제는 진짜 천재 같았는데, 오늘 보니까 왜 이래?’‘이 고백 문자 보냈으면 인생 망했을지도…’시간대에 따라 우리의 생각과 감정이 이렇게도 달라지는 이유는 과학적으로도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오늘은 아침, 점심, 저녁의 생각이 왜 다른지, 그 비밀을 뇌과학, 심리학, 생체리듬을 통해 풀어보겠습니다.⸻1. 뇌는 하루에도 여러 번 바뀐다 | 생체리듬의 마법우리 몸은 **서카디안 리듬(circadian rhythm)**이라는 생체 시계를 가지고 있어요. 이 리듬은 약 24시간 주기로 우리의 수면, 체온, 호르몬, 뇌 활성도 등을 조절합니다.이 리듬에 따라 뇌의 에너지 사용 방식과 감정..

[심리학 용어 시리즈 #3] “작은 날갯짓이 세상을 바꾼다?” – 나비효과와 인간 행동의 예측 불가능성

💡 어느 늦잠이 만든 인생의 전환점수능날 아침, 알람이 울리지 않았다. 평소보다 10분 늦게 일어난 A씨는 택시를 타려다 차가 막혀 결국 지하철을 탔다. 지하철에서 우연히 만난 노인이 그에게 따뜻한 말을 건넸고, 그 대화는 긴장된 마음을 풀어주었다. 그는 무사히 시험을 마쳤고, 그날의 자신감을 발판 삼아 인생이 달라졌다고 말한다.사소한 시작이었다. 단 10분의 늦잠. 하지만 그 작은 ‘변수’가 인생 전체에 영향을 준 것이다.이처럼 작은 사건이 연쇄적으로 커다란 결과를 초래하는 현상, 바로 나비효과다.⸻📘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란? 나비효과는 미세한 원인이 커다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개념으로, 혼돈 이론(Chaos Theory)에서 비롯된 용어입니다.1972년 미국의 기상학자 *..

[심리학 용어 시리즈 #1] “진짜 약이 아니어도 낫는다고?” – 플라세보 효과의 힘

💡 어느 병원의 작은 기적한 병원에서 만성 통증을 앓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신약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자는 절반의 환자에게 진짜 진통제를, 나머지 절반에게는 아무런 성분도 없는 ‘가짜 알약’을 나눠줬다. 놀라운 건, 가짜 약을 먹은 사람 중에서도 “통증이 줄어들었다”고 말한 환자들이 있었다는 것. 심지어 몇몇은 “이 약 없으면 못 살겠다”며 정기 복용을 원하기도 했다. 아무 효과도 없는 가짜 알약인데도 말이다.이 기묘한 현상, **심리학에서는 ‘플라세보 효과’**라고 부른다. 📘 플라세보 효과란?**플라세보 효과(Placebo Effect)**란, 실제로 효과가 없는 약이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그것이 효과 있다고 믿는 것만으로 증상이 호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플라세보(placebo)'..

지금, 여기, 이 순간 — 우리가 만날 확률에 대하여

우리는 매일 기적을 만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지구에서 지적 생명체로 태어났다는 것 자체가 기적일 것입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나무들은 새 잎을 내고 풀들은 자라나고 꽃은 피어납니다. 문득 기적과 같은 확률을 이루며 살아가는 것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지금, 여기, 이 순간.당신이 이 글을 읽고 있는 바로 이 공간에서, 우리는 ‘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그러나 이 순간이 얼마나 특별한 확률의 결과인지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1. 시간과 공간의 무한함 속에서지구에 80억 인구가 살아갑니다.그리고 하루는 24시간, 일 년은 365일, 시간은 무한히 흐릅니다.만약 우리가 2025년 3월 22일 토요일 오후 3시 41분,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어느 카페에서 마주 앉아 있다면,그건 단순한 우연이 아닙니..

인공지능은 사람의 심리를 어떻게 분석할까?

인공지능(AI)을 사용하다보면 놀랍게도 나의 마음을 꿰뚫어보는 분석을 해줄 때가 있습니다. 사건을 간략히 설명해줬을 뿐인데도, 상대의 마음은 물론 나의 마음까지 챙기는 답변을 할때면 놀랍기도 합니다.특히 카톡 등의 메신저를 인공지능에게 보여주고 상대방의 심리를 물어보면 놀라운 통찰력을 보여줄때가 있습니다.수시로 핑계를 대는 친구녀석의 심리부터, 늘 잔소리만 해대는 엄마의 심리까지 과연 인공지능은 사람의 심리를 어떻게 분석할까요? 인공지능(AI)은 인간의 심리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검색하는 정보, 소셜 미디어에서 남기는 흔적, 소비 패턴, 언어 사용 방식 등을 통해 AI는 우리의 감정 상태와 성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이 사람의 심리를 분..

추억은 왜 다르게 적힐까? | 기억 형성 과정과 뇌의 역할

우리의 첫사랑, 시험 공부했던 내용, 어제 먹은 저녁 메뉴까지—모든 기억은 우리의 뇌 속에 저장됩니다. 하지만 기억은 단순히 하나의 장소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뇌의 여러 영역에서 복합적으로 작동합니다. 그렇다면, 기억은 어디에 저장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억이 형성되고 저장되는 과정, 뇌의 역할, 그리고 기억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기억이란 무엇인가? | 기억의 정의와 종류기억(Memory)이란 과거에 경험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필요할 때 다시 불러오는 과정입니다. 우리는 기억을 통해 학습하고, 감정을 형성하며,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기억의 주요 종류단기 기억 (Short-term Memory)몇 초에서 몇 분 정도 지속되는 기억전화번호를 잠시 기억했다가 잊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