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 13

통속의 뇌 실험, 통속에서 뇌는 살아갈 수 있을까?

전 포스팅에서 시뮬레이션 세상을 만들때 어떤 것들을 생각해야할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 우리가 시뮬레이션 우주를 창조한다면, 뇌는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이번엔 매트릭스의 세계로 들어가서 인간의 뇌가 통속에 담겨있다면 과연 어떤 조건들이 필요하고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통속의 뇌(The Brain in a Vat)"는 철학적 사고 실험으로, 인간이 현실이라 믿는 세계가 사실은 가상의 시뮬레이션일 수도 있다는 논의를 다룹니다. 이는 우리가 감각을 통해 인식하는 현실이 절대적이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철학적 논의를 넘어, 과학적으로 ‘통속의 뇌’가 생존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문제입니다. 과연 인간의 뇌는 신체 없이도 생명 활동을 유지하며 생각할 ..

인간의 뇌도 양자컴퓨터가 될 수 있을까?

양자 컴퓨터가 요즘 화제다. 양자 컴퓨터에 대해 공부하다 문득 궁금한게 생겼다.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를 이루는 양자의 중첩상태를 유지하는게 가장 큰 기술이자 어려움이라고 말이다. 양자는 절대온도 (-273도)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한다. 인간의 뇌도 원자로 이루어져있고, 이 원자도 양자역학적 특성을 갖고있지 않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겨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 서론: 인간의 뇌와 양자컴퓨터의 관계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양자컴퓨터(Quantum Computer)**는 기존 컴퓨터의 한계를 뛰어넘을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하지만 과학자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의 뇌 자체가 양자컴퓨터처럼 작동할 가능성이 있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우리의 뇌는 **약 860억 개의 뉴런(Neuro..

추억은 왜 다르게 적힐까? | 기억 형성 과정과 뇌의 역할

우리의 첫사랑, 시험 공부했던 내용, 어제 먹은 저녁 메뉴까지—모든 기억은 우리의 뇌 속에 저장됩니다. 하지만 기억은 단순히 하나의 장소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뇌의 여러 영역에서 복합적으로 작동합니다. 그렇다면, 기억은 어디에 저장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억이 형성되고 저장되는 과정, 뇌의 역할, 그리고 기억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기억이란 무엇인가? | 기억의 정의와 종류기억(Memory)이란 과거에 경험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필요할 때 다시 불러오는 과정입니다. 우리는 기억을 통해 학습하고, 감정을 형성하며,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기억의 주요 종류단기 기억 (Short-term Memory)몇 초에서 몇 분 정도 지속되는 기억전화번호를 잠시 기억했다가 잊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