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0

인디언의 언어체계와 사고의 확장성: 우리가 잊고 있던 언어의 힘

바람을 가르는 늑대, 강물위로 떨어지는 물방울, 포효하는 바람. 인디언식 언어를 살펴보면 참으로 흥미로운 점이 있습니다.인디언의 언어에는 실패라는 단어나 실패를 상징하는 말이 없다고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인디언의 사회에서는 실패라는 건존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물론 떠도는 이야기이기에 정확한 근거가 없을 수 있고, 과장된 표현일 수도 있겠지만, 한번 쯤은 생각해봄 직한 말인 것 같습니다. 인디언, 즉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서 그들의 철학, 세계관, 생태관, 그리고 우주와의 연결 방식을 담고 있는 깊이 있는 사고 체계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잊히고 있는 이 언어체계는 오히려 **언어가 사고를 형성한다는 '사피어-워프 가설(Sapir-Whorf Hypothesis)'**을 강력..

챗GPT처럼 말하기: 인공지능은 왜 늘 친절할까?

인공지능과 대화를 나누다보면 느껴지는게 있습니다.그들(?)은 늘 친절하고 부정적이지 않고 긍정적이며 늘 희망에 찬 말을 하고 용기를 북돋아줍니다.아는게 많은 만큼 겸손해져서인가? 혹은 많은 데이터 학습량으로 인해 부정적 말투가 인간에게 좋지 못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아는 것일까? 혹은 긍정적으로만 말하게끔 설계(?)가 되서일까?인공지능처럼 타인과의 대화에서 조금더 친절하고 긍정적인 말투와 단어를 사용한다면요즘 처럼 각박해진 세상에서 더 매력적인 사람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요즘 인공지능(AI)과 대화를 나눠본 분들이라면 공통적으로 느끼는 점이 있습니다. 바로 ‘친절함’입니다. 질문이 서툴러도, 내용이 길어도, 가끔은 예민한 주제를 꺼내더라도 인공지능은 항상 차분하고 긍정적으로 답변합니다. 마치 ..

고맙습니다의 어원으로 본 한국인의 고마움 심리

우리가 일상 속에서 가장 자주 쓰는 말 중 하나, “고맙습니다.”그 말 속에 담긴 의미를 곱씹어본 적 있으신가요?이 평범한 인사말 한마디에도 우리의 철학과 세계관이 깊이 스며 있습니다. 특히 ‘고맙습니다’의 어원을 들여다보면, 한국인의 고마움에 대한 인식이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존재에 대한 경외와 신성함의 인식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고맙습니다’의 어원은 어디서 왔을까?‘고맙습니다’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바로 **‘곰’**과 **‘답습니다’**입니다.이때의 **‘곰’**은 우리가 아는 동물이 아닙니다.순우리말에서 ‘곰’은 검다, 또는 보이지 않는 존재, 다시 말해 **신(神)**을 뜻합니다. 이 어원은 여러 고대어와 전통어휘에서도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거미(..

지금, 여기, 이 순간 — 우리가 만날 확률에 대하여

우리는 매일 기적을 만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지구에서 지적 생명체로 태어났다는 것 자체가 기적일 것입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나무들은 새 잎을 내고 풀들은 자라나고 꽃은 피어납니다. 문득 기적과 같은 확률을 이루며 살아가는 것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지금, 여기, 이 순간.당신이 이 글을 읽고 있는 바로 이 공간에서, 우리는 ‘같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그러나 이 순간이 얼마나 특별한 확률의 결과인지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1. 시간과 공간의 무한함 속에서지구에 80억 인구가 살아갑니다.그리고 하루는 24시간, 일 년은 365일, 시간은 무한히 흐릅니다.만약 우리가 2025년 3월 22일 토요일 오후 3시 41분,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어느 카페에서 마주 앉아 있다면,그건 단순한 우연이 아닙니..

🧠 AI 반도체란? 전문적인 개념과 기술적 원리

AI 반도체는 인공지능(AI)의 연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 반도체로, 기존의 CPU(중앙처리장치)와는 차별화된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AI 모델이 학습하고 추론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병렬 연산 성능, 에너지 효율성, 데이터 처리 속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이다.AI 반도체는 머신러닝(ML)과 딥러닝(DL) 연산을 위한 최적화된 하드웨어로, 최근 AI 기술의 폭발적 성장과 함께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로봇, 의료, 금융, 메타버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AI 반도체의 개념, 기존 반도체와의 차이점, 주요 아키텍처, 연산 방식, 최신 기술 트렌드를 심층 분석해보겠다.🏗 1. AI 반도체의 개념과 구조🔹 1) AI 반도체란 무엇인가?AI 반도체는..

심화자료 2025.03.21

🚀 엔비디아, AI의 뇌를 만든다? 미래를 바꿀 AI 반도체 기술

미래는 유토피아일까? 디스토피아일까? 그 논의의 중심에 있는 ai기술과 ai반도체가 무엇인지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다. AI(인공지능)는 더 이상 공상과학 소설 속 이야기가 아니다. 오늘날 우리는 AI가 인간과 같은 수준의 사고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시대의 초입에 서 있다. 그 중심에는 **엔비디아(NVIDIA)**가 개발 중인 AI 반도체가 있다. 엔비디아는 단순한 GPU 제조사를 넘어 AI의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 기술을 선도하며, AI 발전의 핵심 엔진이 되고 있다.과연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는 무엇이며,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AI 혁신을 가속화하고, 우리 삶을 바꿀 것인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기술, 주요 제품, 미래 전망, 그리고 윤리적 이슈까지 심층 분석해보..

우주의 원자 개수는 무한할까?

우주는 광활하며, 인간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별과 행성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우주에 존재하는 원자의 개수는 무한할까? 아니면 유한한 숫자로 계산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우주의 크기, 물리학적 법칙, 그리고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심오한 주제다. 이번 글에서는 우주의 원자 개수를 무한하다고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식에 대해 깊이 탐구해보자.1. 원자란 무엇이며, 우주에 얼마나 많을까? 원자는 물질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중 하나로,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우주의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주가 팽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자의 개수는 특정한 범위 안에서 예측할 수 있다.과학자들은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에 존재하는 원자의 개수를..

노동 후 막걸리는 왜 이렇게 맛있을까? 뇌과학으로 보는 막걸리의 매력

원래는 소주파였었는데, 나이가 들어가니 막걸리가 좋아졌다. 당연히 취하도록 마시면 막걸리의 숙취는 최악이지만 적당히 한두잔 마시는 풍미는 막걸리를 따라올 주류는 없는 것 같다. 노동을 마친 후 마시는 한 잔의 막걸리는 유독 더 맛있게 느껴진다. 농부들이 땀 흘려 일한 뒤 마시는 막걸리, 목공이나 건축 일을 마친 후 마시는 막걸리, 심지어 등산 후 마시는 막걸리까지—이 순간의 막걸리는 그 어떤 술보다도 특별한 맛을 낸다. 그렇다면 왜 노동 후 막걸리는 더 맛있게 느껴질까? 뇌과학적 관점에서 막걸리의 맛과 효능을 분석해보자.⸻1. 노동 후 막걸리의 ‘환상적 맛’을 만드는 뇌의 작용첫째, 노동이나 운동을 마친 후 우리 몸은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한다. 도파민은 보상 시스템을 활성화해 목표를 달성했을 ..

SF 속 미래 기술, 실제 과학으로 실현 가능할까?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과거 SF 영화나 소설에서만 가능했던 미래 기술들이 하나둘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자동운전 차량, 인공지능 비서, 우주여행 등은 이미 우리 일상 속에서 실현되고 있으며, 인간의 뇌를 디지털화하는 트랜스휴머니즘 기술도 점점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SF 작품 속에서 자주 접하는 기술들은 과연 실제 과학으로 실현될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SF 기술들과 현재 연구 상황, 실현 가능성을 분석해보겠습니다.⸻1. 인공지능(AI)과 자율로봇 – 인간을 넘볼 수 있을까? SF 속 인공지능영화 아이, 로봇(I, Robot), HER, 블레이드 러너 2049 등에서는 인간과 유사한 감정을 가진 인공지능(AI)과 자율로봇이 등장합니다. 인간을 보조하는 수준을 넘어, 자율적인..

하룻밤 사이 백발이 된 백수광부 – 망국의 한이 인간의 심리에 미친 영향(공무도하가)

공무도하가는 기록된 한국시가 중 가장 오래된 시가이다. 고조선 멸망의 한을 견디지 못해 폐인이 되어 버린 남자의 절망과 그걸 곁에서 지켜볼 수 밖에 없던 여옥의 애절한 사랑이 담긴 노래이다. 이상은 이라는 멋진 가수가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공무도하가"라는 곡을 발표하기도 했었다. 이 글을 읽고 공감하신다면 꼭 한번 노래도 들어보시길 바란다.  📝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 원문과 해석📜 원문(原文)公無渡河公竟渡河墮河而死蕩濊公河🔊 음독(音讀)공무도하공경도하타하이사당내공하📖 현대어 풀이님이시여, 그 강을 건너지 마세요하지만 끝내 강을 건너셨고강물에 빠져 돌아가셨습니다깊고 흐린 강물이 님을 삼켜버렸습니다이 네 줄의 짧은 고대가요 속에는나라를 잃은 절망,사랑하는 이의 죽음,운명 앞에 무너지는 인간의 무..

문학과 심리학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