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 미래뇌과학 14

통속의 뇌 실험, 통속에서 뇌는 살아갈 수 있을까?

전 포스팅에서 시뮬레이션 세상을 만들때 어떤 것들을 생각해야할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 우리가 시뮬레이션 우주를 창조한다면, 뇌는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이번엔 매트릭스의 세계로 들어가서 인간의 뇌가 통속에 담겨있다면 과연 어떤 조건들이 필요하고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통속의 뇌(The Brain in a Vat)"는 철학적 사고 실험으로, 인간이 현실이라 믿는 세계가 사실은 가상의 시뮬레이션일 수도 있다는 논의를 다룹니다. 이는 우리가 감각을 통해 인식하는 현실이 절대적이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철학적 논의를 넘어, 과학적으로 ‘통속의 뇌’가 생존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문제입니다. 과연 인간의 뇌는 신체 없이도 생명 활동을 유지하며 생각할 ..

🧠 우리가 시뮬레이션 우주를 창조한다면, 뇌는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 시뮬레이션 속 ‘생명체의 뇌’ 설계하기오래전 매트릭스라는 명작 영화가 있었다. 화려한 액션 비쥬얼도 대단했지만 영화가 담고 있는 디스토피아적 세계관과 철학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현대 우주론에서 다중우주이론, 초끈이론 등 다양한 우주에 대한 해석들이 나오고 있고 그중 시뮬레이션 우주론을 믿는 사람들도 많이 늘었다. 우리가 시뮬레이션 세계에서 살고 있을 가능성도 많겠지만, 반대로 인간이 시뮬레이션 우주를 창조한다고 하면 어떻게 뇌를 설계 할 수 있을꺼 궁금해졌다. 최근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가 새로운 시뮬레이션 우주를 창조할 수 있다면 어떤 뇌를 설계해야 할까? 하는 흥미로운 질문이 떠오르고 있습니다.단순한 인공지능(AI)이 아닌,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감정을 느끼며 발전하는 생명체를 ..

인간의 뇌도 양자컴퓨터가 될 수 있을까?

양자 컴퓨터가 요즘 화제다. 양자 컴퓨터에 대해 공부하다 문득 궁금한게 생겼다.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를 이루는 양자의 중첩상태를 유지하는게 가장 큰 기술이자 어려움이라고 말이다. 양자는 절대온도 (-273도)의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한다. 인간의 뇌도 원자로 이루어져있고, 이 원자도 양자역학적 특성을 갖고있지 않을까? 라는 궁금증이 생겨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 서론: 인간의 뇌와 양자컴퓨터의 관계컴퓨터 기술이 발전하면서 **양자컴퓨터(Quantum Computer)**는 기존 컴퓨터의 한계를 뛰어넘을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하지만 과학자들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인간의 뇌 자체가 양자컴퓨터처럼 작동할 가능성이 있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우리의 뇌는 **약 860억 개의 뉴런(Neuro..

생체 양자컴퓨터(Bio-Quantum Computing): 철새의 뇌를 큐비트로 활용할 수 있을까?

서론: 기존 양자컴퓨터의 한계를 뛰어넘을 새로운 패러다임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가 풀 수 없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양자컴퓨터 연구는 몇 가지 기술적 한계에 직면해 있습니다.특히, **양자 중첩(Quantum Superposition)**과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을 유지하려면 극도로 낮은 온도(-273℃, 절대온도에 가까운 환경)가 필요합니다.이로 인해 양자컴퓨터의 실용화가 어렵고, 유지 비용이 매우 높으며, 확장성에도 문제가 있습니다.하지만 자연은 이미 실온에서 양자역학적 특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진화적으로 개발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그 대표적인 예가 철새의 뇌가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는 방식입니다.이제 "철새의 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