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시보효과 2

죽음은 뱀의 독이 아닌 믿음에서 왔다 – 노시보 효과 실험

인간의 뇌는 때로 현실보다 더 강한 허상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 허상이, 현실보다 더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오늘 소개할 이야기는 심리학계에서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를 설명할 때 자주 인용되는 에피소드다. 누군가는 도시전설이라 부르지만, 이 이야기가 전하는 메시지는 실로 명확하다. ‘믿음’은 때로 생사를 가른다.코브라에 물려 죽은 줄 알았던 사형수 한 나라의 감옥. 중죄로 사형이 확정된 한 죄수에게 어느 날 특이한 통보가 내려진다."당신의 사형은 교수형이 아닌 맹독을 가진 코브라에 물려 사망하는 방식으로 집행될 것이다."놀란 죄수는 동요하지만, 이미 판결은 확정된 상태였다. 그는 사형 집행 전날까지 극심한 불안에 시달리며 잠을 이루지 못했다.그리고 사형 당일. 죄수는 눈..

[심리학 용어 시리즈 #1] “진짜 약이 아니어도 낫는다고?” – 플라세보 효과의 힘

💡 어느 병원의 작은 기적한 병원에서 만성 통증을 앓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신약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자는 절반의 환자에게 진짜 진통제를, 나머지 절반에게는 아무런 성분도 없는 ‘가짜 알약’을 나눠줬다. 놀라운 건, 가짜 약을 먹은 사람 중에서도 “통증이 줄어들었다”고 말한 환자들이 있었다는 것. 심지어 몇몇은 “이 약 없으면 못 살겠다”며 정기 복용을 원하기도 했다. 아무 효과도 없는 가짜 알약인데도 말이다.이 기묘한 현상, **심리학에서는 ‘플라세보 효과’**라고 부른다. 📘 플라세보 효과란?**플라세보 효과(Placebo Effect)**란, 실제로 효과가 없는 약이나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그것이 효과 있다고 믿는 것만으로 증상이 호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플라세보(place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