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힘 2

인디언의 언어체계와 사고의 확장성: 우리가 잊고 있던 언어의 힘

바람을 가르는 늑대, 강물위로 떨어지는 물방울, 포효하는 바람. 인디언식 언어를 살펴보면 참으로 흥미로운 점이 있습니다.인디언의 언어에는 실패라는 단어나 실패를 상징하는 말이 없다고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인디언의 사회에서는 실패라는 건존재하지 않는다고 합니다.물론 떠도는 이야기이기에 정확한 근거가 없을 수 있고, 과장된 표현일 수도 있겠지만, 한번 쯤은 생각해봄 직한 말인 것 같습니다. 인디언, 즉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서 그들의 철학, 세계관, 생태관, 그리고 우주와의 연결 방식을 담고 있는 깊이 있는 사고 체계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잊히고 있는 이 언어체계는 오히려 **언어가 사고를 형성한다는 '사피어-워프 가설(Sapir-Whorf Hypothesis)'**을 강력..

고맙습니다의 어원으로 본 한국인의 고마움 심리

우리가 일상 속에서 가장 자주 쓰는 말 중 하나, “고맙습니다.”그 말 속에 담긴 의미를 곱씹어본 적 있으신가요?이 평범한 인사말 한마디에도 우리의 철학과 세계관이 깊이 스며 있습니다. 특히 ‘고맙습니다’의 어원을 들여다보면, 한국인의 고마움에 대한 인식이 단순한 감정 표현이 아니라 존재에 대한 경외와 신성함의 인식이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고맙습니다’의 어원은 어디서 왔을까?‘고맙습니다’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바로 **‘곰’**과 **‘답습니다’**입니다.이때의 **‘곰’**은 우리가 아는 동물이 아닙니다.순우리말에서 ‘곰’은 검다, 또는 보이지 않는 존재, 다시 말해 **신(神)**을 뜻합니다. 이 어원은 여러 고대어와 전통어휘에서도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