뻔뻔한 사람 심리 3

뻔뻔한 사람에게 상처받지 않으려면: 감정 에너지를 지키는 심리 전략

살다 보면 꼭 한 번쯤은 마주하게 되는 사람이 있다. 거짓말을 해도 당당하고, 자신에게 책임이 있음에도 모르쇠로 일관하며, 누가 봐도 부끄러운 상황에서도 오히려 뻔뻔하게 웃는 사람. 우리는 그런 사람을 향해 “부끄러운 줄 좀 알아라”라고 말하지만, 정작 본인은 전혀 반성하지 않고 오히려 당당하다. 이럴 때 우리는 분노와 혼란을 동시에 느낀다. “어떻게 사람이 저럴 수 있지?”라는 의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하지만 더 중요한 질문은 따로 있다. 그들을 바꿀 수는 없지만, 그들에게 상처받지 않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그들은 왜 부끄러움을 모를까? 뻔뻔한 사람들에게 윤리나 수치심이라는 감정은 제한적으로 작동하거나 아예 무감각할 수 있다. 심리학적으로 보면, 자기애 성향이 강하거나, 공감 ..

뻔뻔한 사람들은 정말 부끄러움을 모를까?

뉴스나 사회 이슈 속에서, 혹은 일상 속 인간관계에서도 뻔뻔한 사람을 만나는 경우가 있다. 거짓말을 해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책임을 회피하면서도 뻔뻔하게 웃으며 상황을 모면하는 사람들. 우리는 종종 그들을 향해 이렇게 말하곤 한다. “부끄러운 줄 좀 알아라.” 그러나 정말 그들은 부끄러움을 모를까? 아니면,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기준에서 부끄러움을 느끼는 걸까?심리학적으로 보면 뻔뻔한 사람도 수치심을 느낀다. 다만 그 ‘포인트’가 다를 뿐이다. 우리가 상식적, 도덕적으로 부끄럽다고 여기는 상황에서 그들은 전혀 동요하지 않지만, 다른 방식의 자극에는 민감하게 반응한다.자기 이미지가 훼손될 때 뻔뻔한 사람일수록 ‘자신의 이미지’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강한 자아, 흔들리지 않는 권위, 성공한 ..

거짓말, 모르쇠, 책임 회피… 왜 어떤 사람들은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을까?

뉴스를 보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다."어떻게 저렇게 뻔뻔할 수가 있지?"죄를 짓고도 아무렇지 않게 웃으며 기자 앞에 서고,말을 바꾸고, 거짓말을 반복하고,들켰는데도 모른 척, 침묵, 그리고 아무 일 없다는 듯 행동하는 사람들.단순히 윤리 문제나 정치적 성향의 문제를 떠나,이런 인물들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해보는 일은 우리 자신을 지키는 데에도 필요하다.오늘은 뻔뻔함의 심리학에 대해 깊이 살펴보자.1.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 것이 아니라 회피하는 것심리학에서 ‘수치심(shame)’은 사회적 기준에서 벗어났을 때 발생하는 감정이다.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수치심을 억누르거나 아예 느끼지 않는 듯 행동한다.이는 실제로 감정을 무시하거나 회피하는 데 익숙해진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특히 권력과 결합된 자기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