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 3

하룻밤 사이 백발이 된 백수광부 – 망국의 한이 인간의 심리에 미친 영향(공무도하가)

공무도하가는 기록된 한국시가 중 가장 오래된 시가이다. 고조선 멸망의 한을 견디지 못해 폐인이 되어 버린 남자의 절망과 그걸 곁에서 지켜볼 수 밖에 없던 여옥의 애절한 사랑이 담긴 노래이다. 이상은 이라는 멋진 가수가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공무도하가"라는 곡을 발표하기도 했었다. 이 글을 읽고 공감하신다면 꼭 한번 노래도 들어보시길 바란다.  📝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 원문과 해석📜 원문(原文)公無渡河公竟渡河墮河而死蕩濊公河🔊 음독(音讀)공무도하공경도하타하이사당내공하📖 현대어 풀이님이시여, 그 강을 건너지 마세요하지만 끝내 강을 건너셨고강물에 빠져 돌아가셨습니다깊고 흐린 강물이 님을 삼켜버렸습니다이 네 줄의 짧은 고대가요 속에는나라를 잃은 절망,사랑하는 이의 죽음,운명 앞에 무너지는 인간의 무..

문학과 심리학 2025.03.20

동물의 파동적 언어, 인간이 이해할 수 있을까?

컨택트라는 영화를 보면 외계 지적생명체와 대화하기 위한 소통의 과정을 흥미롭게 다루고 있다. 과학 기술이 조금 더 발전하면 침팬지나 고래와 같이 지능이 높은 동물들과도 대화할 수 있는 날이 언젠가는 오지 않을까? 인간의 소통방식과 다른 그들의 파동적 언어를 언젠가 이해하게 된다면 그들에게 무엇을 물을 수 있을까? 인간은 언어를 통해 의사소통하지만, 동물들은 우리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소통한다. 특히 일부 동물들은 인간이 감지할 수 없는 주파수와 파동을 이용해 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인간이 동물의 파동적 언어를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할까?이번 포스팅에서는 동물들이 사용하는 파동적 언어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인간이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기술적 접..

조선판 매트릭스, 구운몽 – 현실과 꿈의 경계를 넘어서다

현대의 대표적인 SF 영화 [매트릭스(The Matrix)]를 떠올려 보자.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이 사실은 거대한 시뮬레이션이며, 그 안에서 벗어나는 것이 진정한 깨달음이라는 설정. 그런데 조선 시대에도 이와 유사한 철학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바로 김만중(1640~1682)이 지은 『구운몽(九雲夢)』 이다. 이 작품은 “현실과 꿈 중 어느 것이 진짜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인간의 욕망과 깨달음을 이야기한다.⸻1. 구운몽의 줄거리 – 꿈속에서 펼쳐진 인생 이야기구운몽은 불교적인 색채가 짙은 작품으로,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① 수도승 성진, 욕망의 시험에 들다주인공 **성진(性眞)**은 승려로서 깊은 수행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어느 날 선녀들에게 마..

문학과 심리학 2025.03.20